대구 도시철도 1, 2호선 연장· 순환선화를 통한 경산 발전전략 입법지원 토론회
페이지 정보
본문
윤두현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북 경산시)은, 16일 오후 경산시농업기술센터에서 국회 법제실과 공동으로 「대구 도시철도 1,2호선 연장·순환선화를 통한 경산 발전전략 입법지원 토론회」를 열었다.
윤두현 의원은 개회사에서, “지하철 연장과 순환선화 문제는 단순히 예타만 따져서 될 문제가 아니라 그 지역의 장기적 발전, 예산, 산업 방향 등을 감안해서 종합적인 발전 계획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라며, “오늘 이 자리에 참여한 우리 경산 시민이 지하철 연장과 순환선화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영우 대구대학교 공과대학장(건설시스템학과 교수)은,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 연결 순환선은 경산시 철도사업에서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중요하고 시급한 사업”이라면서, “경산시에서 인근 지역의 철도사업과 연계하여 상호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철도망 구축사업을 발굴, 추진하는 종합적 대응 전략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최진석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철도교통연구본부 민자철도관리지원센터)은, “지방 광역철도 확정 사업은 4개 126.4km, 수도권 확정 사업은 13개 420.4km로 당분간 불균형 문제가 지속될 예정”이라고 지적하면서 “과거처럼 정부 주도라는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민간이 제안하는 국가철도망 등 여러 방법을 잘 활용해 조속히 건설돼 지역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강학 경산시 부시장은, “경산시의 제반 도시교통문제를 개선하고 시민들에게 질 높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구도시철도 1, 2호선과 3호선을 연장하여 도시교통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 정책인 국가균형 발전을 위한 단절구간 연결과 경북 지역 발전 방향을 완성하기위해 공공인프라 수단으로 본 사업 추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용한 교수는, “도시철도 1, 2호선 연결과 순환선 건설사업은 광역철도망의 완성과 이용편의성 제고,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 사업으로 판단된다”며, “‘경북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기본구상 용역’에 본 계획안을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제5차 철도망구축 계획’에 반영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짚었다.
김영철 법제관은, “해당 사업을 진행하는데 중요하고 쟁점이 되는 부분은 바로 사업의 수익성, 효과성과 예비타당성조사”라고 지적하면서, 그 해결책으로 도시철도와 지역을 연계할 대중교통의 확충, 이를 위한 재정지원의 확대를 제시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산시의 지역경제 활성화, 균형발전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대구 도시철도 1·2호선 연장과 순환선 구축 방향에 대해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하고, 이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이성수 기자
- 이전글조현일 시장, “시민 행복과 기회의 도시 경산 위해 매진” 23.06.28
- 다음글경산시의회, 제247회 정례회 개회 23.06.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