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다자녀 공무원 인사우대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제198회 경산시의회 임시회 2017. 12. 19(화) 11:00
이기동의원
오늘 본 의원은 국가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와 관련하여 공직사회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우리시 다자녀 공무원 인사우대 제도에 대하여 발언하고자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26명으로 추정되어 조사대상 2백 24개국 중 출산율이 2백 19위이고 OECD 35개국 중에서는 최하위로 국가적 재앙으로까지 불리는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점은 제가 더 이상 언급하지 않더라도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우리시 공무원 1천 2백 13명 가운데 미성년자 자녀를 둔 공무원은 6백 2명이었으며,
그 중 한 자녀는 2백 71명으로 45 퍼센트, 두 자녀는 2백 98명으로 49.5 퍼센트 이며
세 자녀 이상 공무원은 33명으로 세 자녀 이상 공무원은 5.5 퍼센트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우리시 전체 공무원의 평균 자녀수는 약 1.4명에 불과하여 2명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부부가 출산과 육아를 결심하는 데는 경제적인 요인과 더불어 일과 가정의 양립, 남녀 육아분담 인식형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합니다.
본 의원은
먼저 공직사회에서부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자녀 공무원에 대하여 인사우대제도 등 각종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합니다.
다자녀 공무원 승진에 있어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 출산 복귀 후 가점 부여, 근거리 근무지 배정, 전보 시 본인 의견 반영, 모범공무원 등 각종 표창 시 우선 선발, 해외 체험연수 우선 선발, 직원 휴양시설 이용 시 우선 배정, 각종 교육신청 시 우선 선발 등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의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전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등 광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창원시, 김해시, 청주시, 서울 용산구·노원구, 옥천군, 기장군, 부산진구 등 전국의 기초자치단체에서도 이미 다자녀 공무원 인사우대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곳이 상당수 있었습니다. 타 시·도의 우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우리시 실정에 맞도록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우리시에도 기획예산담당관실의 인구정책담당에서 저출산·인구감소 대책수립과 시책을 발굴하고 인구정책 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만 얼마만큼의 성과가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앞서 제가 제안 드린 인사우대정책 등을 시행하여 공직사회에서부터 출산 장려 분위기를 조성하고 점차, 기업 등 사회 전반으로 확대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사회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출산 자녀수까지 공무원 인사우대로 반영해야 하느냐는 반론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직사회에서 조성된 분위기는 민간부문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 왔습니다.
- 이전글경산시의회, 제198회 임시회 폐회. 17.12.27
- 다음글경산시의회, 올해 마지막 임시회 개회 추경예산 심사 17.1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