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건강 적신호, 수족구가 뭐예요?
페이지 정보

본문
경산시(시장 최영조)는 최근 수족구병 환자발생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수족구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 수족구병: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수족구병 의사환자 수는‘18년 26주 16.2명(외래환자 1,000명당), 27주 24.9명, 28주 27.5명으로 지속 증가했고, 0-6세 발생(33.6명)이 높았으며 8월말까지 환자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수족구병은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며,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나, 일부 환자에서는 고열, 구토, 마비증상 등이 나타나는 뇌막염, 뇌실조증, 뇌염 등 중추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나며 그 외에 심근염, 신경원성 폐부증, 급성 이완성 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발열, 입안의 물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등 수족구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 수족구병 예방 수칙 > |
|
|
| |
|
|
|
◇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 하기(붙임 2 참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하기(발병 후 1주일) |
- 이전글기록적인 폭염에 식중독 예방관리 18.08.03
- 다음글향기! 맛! 젊음!~ 꽃차에 다 있습니다 18.07.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