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버섯 중독사고 매년 꾸준히 발생... 장마철 야생 버섯 주의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 위: 개나리광대바섯 아래: 독우산광대버섯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장마철 무더운 날씨와 비가 자주 내리면서 야생 독버섯이 돋아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최근 아침, 저녁으로 기온이 하강하고 습기가 풍부해 버섯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갖춰져 독버섯을 포함한 다양한 버섯들을 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독버섯은 화려하고 탐스러워 등산객들의 눈길을 끌기 쉬워 야생에서 버섯을 채취하거나 섭취하는 행위는 위험하다고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일부 독버섯은 어릴 때 일반 식용버섯과 그 모양새나 색깔이 비슷하고 냄새도 독하지 않아 식용 버섯으로 착각하기 쉽다.
국내 야산에는 식용이 가능한 버섯과 함께 독우산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화경버섯, 노란다발버섯 등 60가지 이상의 독버섯이 자생하고 있다.
버섯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주범인 독우산광대버섯은 어릴 때 작은 달걀모양이고 성장하면 백색의 대와 갓이 나타나 갓버섯이나 식용버섯으로 착각하기 쉽다. 또한, 개나리광대버섯은 꾀꼬리버섯(식용)으로, 노란다발버섯(독버섯)은 개암버섯(식용)으로 잘못 알고 먹는 일이 생기고 있다.
독버섯 중 일부는 어릴 때는 일반 식용버섯과 그 모양새나 색깔이 비슷하고, 냄새도 독하지 않아 식용 버섯으로 착각하기 쉽다.
독버섯은 먹은 뒤 6~8시간 후면 구토나 설사, 근육경련, 환각 등의 증세가 나타나 심한 경우 사망할 수 있어 잘 모르는 버섯은 함부로 먹지 말아야 하며 주변에서 만나는 야생버섯 대부분은 독버섯으로 의심하고 먹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한편, 식약청 통계에 의하면 최근 7년 동안 30여명이 독버섯을 섭취해 병원치료를 받았고 이 중 10여 명이 사망했다.
- 이전글부모 영양 가정통신문 18.07.17
- 다음글경산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영양교육 뮤지컬 개최 18.07.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