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등산, 아이젠 등 필수 등산장비와 안전수칙 반드시 지켜야
페이지 정보

본문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최근 산악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겨울철 등산객들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겨울철 산행 안전사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북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철(12~2월) 동안 140명의 산악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발목을 삐는등 안전부주의에 의해 발생한 기타사고가 60건(4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반조난 35명(25%), 실족․추락이 24건(17%), 개인질환이 18건(13%), 낙석에 의한 사고가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로는 12월이 42명, 1월이 41명, 2월 57명 순으로 나타났다. 금년에도 1월~2월에 눈으로 인한 사고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겨울 등산은 눈을 동반한 추위로 인해 저체온증을 유발하기 쉬워 보온․안전장비 등 더욱 각별한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심혈관질환자는 단독으로 산행을 자제하고 여러 명이 함께 등산을 해야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겨울 산악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하산은 반드시 오후 4시까지 해야 한다. 산에서는 일반 평지보다 빨리 어두워지며 겨울철 하산은 추위와 강풍, 빙판길 등으로 인해 평소의 2배 이상 시간이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
《겨울 산악사고 예방법 》 |
|
|
| |
• 겨울에는 오후 4시까지 산밑에 도착 할수있도록 계획을 잡는다. • 복장은 발수성 내의와 보온성이 뛰어난 외투를 여러겹 껴입는 것이 좋다. • 겨울 등산에는 아이젠과 등산스틱을 준비하고 열량 높은 식량과 비상약, 물은 필수로 챙겨야 한다. • 음주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 아무리 민첩해도 뛰어다니지 말고 쉼터나 대피소를 꼭 기억해두자 • 체력을 감안하여, 무리한 산행과 지정되지 않은 등산로로 산행하지 않는다. |
한편 경북소방본부는 겨울철 등산객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도내 주요 산에 있는 119산악위치표지판 1,442개소를 정비, 조난등 위험사항 발생 시 신속한 출동에 대비하고 있다.
- 이전글외국인도 함께 건강해지는 건강도시 경산 18.01.16
- 다음글경산중앙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개소 18.01.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