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산행 꼭 알아두어야 할 tip~!
페이지 정보

본문
- 소방본부 산악안전사고 등산객 안전 주의 당부 -
경상북도는 최근 겨울철 산행 중 미끄러지는 산악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등산객들의 안전주의를 당부했다.
올해 1월 15일 청송군 주왕산에서 강 모(27세)씨가 하산하던중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내려오지 못해 119헬기에 구조됐으며, 1월 10일에는 포항시 양학산에서 이 모(29세)씨가 등산 중 눈길에 미끄러지면서 다리골절로 구조됐고, 1월 7일에는 구미 금오산에서 박 모(70세) 씨가 발을 헛디뎌 넘어져 허리를 다쳐 119헬기에 긴급 구조되는등 겨울철 산악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는 지난해 1년 동안 도내에서 발생한 산악사고 800건에 출동해 607명의 등산객을 구조했다.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조난사고 226건(28%), 질병 발생 103건(13%), 실족․추락 94건(12%), 자살기도 13건(2%), 기타 탈진등 안전사고가 364건(45%)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악사고의 대부분은 가을 등산객이 많은 9월~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겨울철 산악사고는 주로 중상자 많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산에서의 체온 조절에 실패한 사고와 산악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월별로 보면, 1~2월 71건(9%), 3~4월 84건(10%), 5~6월 150건(19%), 7~8월 143건(18%), 9~10월이 235건(29%), 11~12월 117건(14%)이 발생했다.
산악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행 시 반드시 일몰 1~2시간 전에는 하산해야 한다. 산에서는 일몰이 빨리 찾아오기 때문이다.
한편, 경북소방본부는 산악사고에 대비 도내 주요 산에 설치된 산악구조위치표시판 1,484개를 정비했고, 간이구급함 56개에 대해 응급처치 약품을 보강했다.
※ 산악사고 예방법
-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하여 해지기 한 두 시간 전에 마친다.
- 간단한 식, 음료 및 필요한 물품을 배낭에 잘 꾸리고 손에 가급적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한다.
- 음주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 등산화 및 아이젠 등 겨울 등산장비를 잘 갖춰야 한다.
- 겨울에는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보온의류를 준비한다.
- 체력을 감안해, 무리한 산행과 지정되지 않은 등산로로 산행
하지 않는다.
- 이전글대구한의대,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한방건강강좌 운영 17.02.07
- 다음글겨울철 식중독 예방의 첫걸음은 손 씻기 생활화 ! 17.02.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