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가축분뇨 패러다임 전환, 탄소중립 이행 가속화
페이지 정보

본문
경상북도는 가축분뇨의 퇴비 및 액비화의 관행적 처리에서 벗어나 정화처리 확대 및 고체연료·바이오차*·바이오플라스틱 등 산업용 소재 활성화를 역점 추진한다.
* 바이오차(Bio-char): Biomass + Charcoal 의 합성어로 바이오매스를 350℃ 이상의
온도에서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 열분해하여 만들어진 소재(고체탄화물질)
경북도의 가축분뇨 발생량은 (2015년) 660만t에서 (2020년) 850만t으로 축산업의 성장과 함께 크게 증가하고 있어 지역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가축분뇨의 적정처리가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가 되었다.
그동안 가축분뇨는 자연순환농업을 위한 퇴액비화를 중심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도시화로 인한 살포지 감소, 퇴액비화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발생, 농가 고령화 등으로 살포 여건이 악화되어 퇴비화 이외 새로운 처리방안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양돈농장 정화시설 설치 확대, 가축분 활용 고체연료·바이오차·바이오플라스틱 등 비농업적 이용 활성화로 퇴액비화 처리 비중을 (2020년) 84%에서 (2030년) 60%로, 고체연료·바이오차 20%, 정화처리 20%를 목표로 가축분뇨 처리 정책을 추진한다.
소 분뇨는 고체연료 및 바이오차로의 활용을 확대하고, 돼지 분뇨는 공동자원화시설 연계 바이오가스화, 개별농장 및 공동처리시설에서의 정화처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경북도는 올해 국비예산 35억 원을 포함 총사업비 280억 원을 투자해 축산악취개선(135억 원), 고품질 퇴액비 생산 및 살포비(32억 원), 악취측정 ICT기계장비(6억 원), 친환경악취저감제 및 악취저감시설(18억 원), 축분고속건조발효기(73억 원) 지원사업과 축분연료 에너지전환 실증사업(16억 원)을 추진한다.
한편, 축산환경전문기관의 연구용역(용역기간 2021. 10월 ~ 2022. 8월, 예산 1억1천만 원)을 바탕으로 축산 환경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한다.
축산업의 사육규모 대형화와 축사 냄새로 인한 지역 주민과의 사회적 갈등 심화, 정부 정책 변화 및 축산환경 관련 규제 확대에 대응해 경북의 실정에 맞는 축산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용역은 ▷국내외 축산악취 관리대책 추진현황 조사 ▷축산악취 발생원인 특성 조사 및 분석 ▷축산악취 저감 및 관리 방안 제시 ▷ 축종별 친환경 축산표준 모델 개발 ▷경북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 방안 제시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내용으로 ①축산업 환경 관련 대내외적 여건 조사 ➁국내·외 축산악취저감 우수사례 조사 분석 ➂축종 및 처리단계별 악취 발생 특성 조사 ➃악취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효과 및 문제점 분석 ➄농장관리 및 분뇨처리, 시설 개선 등 저감방안 마련 ➅지원사업별 악취저감 효과 분석, 주민 및 농가 설문 조사 ➆지속 발전 가능한 친환경 축산 표준모델 제시 ➇축산환경 개선을 위한 농가 지원 및 육성방안 제시 ➈경상북도 실정에 맞는 구체적인 단기 및 중장기 정책 로드맵 제시 등 이다.
- 이전글경산소방서,‘소방민원 쉽고 간편하게’소민터 이용 홍보 22.02.18
- 다음글경산소방서,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 지속 추진 22.0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