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전국 최초 위성영상 활용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선보여
페이지 정보

본문
경북도는 8일 도청 안민관에서 스마트 안전도시 구현을 위한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2단계 구축」완료보고회를 열었다.
경상북도 재난 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CCTV 영상, 사물인터넷(IOT) 등 경북에 산재된 데이터를 한 곳에서 통합·연계해 볼 수 있도록 구축했다. 경북도와 시군, 중앙·관계기관의 재난예 방, 대응, 복구, 조사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재난정보 공동 활용 시스템이다.
통합플랫폼은 23개 시군과 연계된 스마트 시티망을 통해 3만 2천 대의 CCTV 영상을 수집하는 ‘광역 영상 허브기능’, 시군에 흩어진 강수·수위·적설·지진 데이터 센서 등을 표준화해 수집하는 ‘재난 센서 허브 기능’, 국토지리정보원과 연계된 재난 현장 위성·항공 영상, 드론 영상의 ‘재난서비스 허브 기능’ 등으로 구성돼 있다.
통합플랫폼의 각종 정보는 재난 예측, 재난 상황 실시간 정보 제공, 재난 복구, 조사 분석에 활용됨은 물론 사건 현장 영상지원·수배 차량추적(경찰), 119 출동 영상지원 서비스(소방), 전자발찌 위반 신속 검거 서비스(법무부) 등 범죄예방에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날 완료보고회에 앞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최주원 경북경찰청장, 국내에 위성을 보유·운영하고 있는 기관인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재난 분야 공간정보 활용 확대 최초 시범 광역도로 선정된 경북도와 국토정보지리정보원, 경북경찰청 간 ‘재난·안전 분야 공간정보 활용 확대’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 국내 최초 공공수요 대응을 위해 개발된 국토위성(‘21.10.)으로 흑백50cm, 컬러 2m의 해상도의 위성영상 취득 가능한 위성
경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난 발생 시점에 해당 지역의 위성·항공 영상, 가공정보(수치지형도, 인구·건물 통계)를 핫라인으로 받아 재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재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신속한 피해 규모 산정에 이용할 수 있고, 2차 재난 상황 관제 등 재난 분야에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성수 기자
- 이전글경산소방서, ‘경상북도 119 소방동요 경연대회’ 금상 수상 23.06.16
- 다음글경산소방서, 경상북도 소방관서 종합평가 결과 ‘최우수’ 관서 선정 23.06.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