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산 공공비축미 8만 6천톤 매입 시작
페이지 정보

본문
- 9.23~11.14 산물벼 23천톤, 10.21~12.31 건조벼 6만 천톤 매입 -
- 우선지급금 1등급 벼 40kg 기준 52,000원, 해외공여용 벼 별도 매입 -
경상북도는 정부의 올해 공공비축미 매입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9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100일간 산물벼 2만 3천 톤, 건조벼 6만 3천톤 등 총 8만 6천 톤을 매입하기로 했다.
* 전국 매입물량 : 51만 4천 톤(정곡 37만 톤)
매입기간은 산물벼 2만 3천 톤의 경우 9월 23일부터 11월 14일까지 31개 RPC(DSC 4개소 포함)를 통해 물벼 상태로 매입하고, 포대벼 6만 3천 톤은 10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군에서 지정한 399개 수매장소에서 수분량 13.0~15.0% 이내의 건조벼 상태로 40kg 또는 800kg 단위로 매입한다.
공공비축미 매입가격은 통계청이 조사하는 수확기(10~12월) 전국 평균 산지쌀값을 기준으로 결정하게 되며, 수확기 농가의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매입대금의 일부를 수매현장에서 우선 지급하고, 2015년 1월중에 최종 정산할 계획이다.
올해 공공비축미 우선지급금은 1등급 벼 40kg기준 5만 2천원으로 전년에 비해 3,000원(△5.4%) 낮은 가격이다.
< 공공비축미 등급별 우선지급금 > (단위 : 원/조곡, 40kg)
구 분 |
특등품 |
1등품 |
2등품 |
3등품 |
포대벼 |
53,710 |
52,000 |
49,690 |
44,230 |
산물벼 |
52,861 |
51,151 |
48,841 |
43,381 |
* 산물벼 가격은 포대벼 가격에서 포장비용(849원) 차감
※ 우선지급금 산정 : 8월 평균 산지쌀값(167,157원)을 40kg 벼로 환산한 가격 57,677원의 약 90%수준에서 결정
매입 품종은 2014년 정부가 시군별 매입대상 품종으로 사전 예시한 2개 품종으로 논에서 생산된 벼에 한하며, 밭벼, 구곡 등을 부정출하하다 적발되면 다음연도 공공비축미 매입농가 선정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금년부터 공공비축과 별도로‘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운영을 위해 2014년산 벼 4만 2천톤(벼 40kg 기준, 1백 4만 2천 포대/전국물량)을 추가 매입 한다고 밝혔다.
* ASEAN+3 Emergency Rice Reserve :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간에 쌀 비축량을 사전에 약정·비축하고 비상시 공여하는 국제 공공비축제로 ‘13.6.25일 국회에서 비준됨. 이에 우리나라는 APTERR 협정에 따라 약정물량 쌀 15만톤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공여용으로 국내산 쌀을 비축함.
해외공여용(APTERR) 벼 매입은 전업농, 농업법인, 들녘별경영체 등 매입 대상자들이 희망물량(300톤~3,000톤) 매입신청서를 작성해 9월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직접 신청 접수하면 된다.
APTERR용 벼 매입 등과 관련된 업무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담당하며, 9월 29일 당일 접수 등록, 10월 8일까지 매입 계약을 체결한 후 12월11일에서 24일 동안 매입할 계획으로 공공비축용 매입과 별도로 해외공여용 벼 4만 2천톤(전국물량)을 추가 매입함에 따라 예년에 비해 농가의 출하 여력이 확대될 것으로 본다.
* 자세한 내용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홈페이지, 나라장터 등에 게시된 ‘APTERR 미곡 공급자 모 집 공고문’ 등을 참고
- 이전글농작물 지리정보시스템(GIS) 이용자 급증 14.10.04
- 다음글국민권익위, 9월 25일 경산시청에서 「이동신문고」운영 14.09.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